《울렁거리고 움직이고 멈춘》 서문
2023 김진주
내가 서 있는 위치를 고정한다. 어느 날은 터널을 지나며 흔들리는 창문이 내는 미세한 소리를 들을 것이다. 다른 날은 공사 현장에 적재된 파이프가 서로 부딪치는 형태를 볼 것이다. 어떤 순간에는 머리 위를 지나는 고가도로의 모습을 관찰할 것이다. 한번은 발바닥을 타고 솟구치는 땅의 진동을 느끼기 위해 바닥에 손을 짚을 것이다. 그것들이 울렁거리며 움직이기를 반복하는 모양을 듣고 보고 느끼다 보면 움직임은 서서히 멈출 것이다. 소리, 형태, 진동은 나의 몸과 상관없이 계속 움직이고 있지만, 자리를 고정하고 선 나의 위치가 멈춤을 체현하기 때문이다.


보기

안진선은 도시에서 느낀 불안을 일상에서 찾은 재료를 통해 표현한다. 울렁이는 천과 이를 받치는 다리, 길고 단단하게 선 받침, 아슬아슬하게 쌓아 올린 지관,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판의 배열로 구성된 공간은 공사장이나 도로에서 본 풍경을 닮았다. 도시에서 관찰되는 건축 재료의 무게감과 소란함은 자연스레 불안을 길러낸다. 도시가 아닌 곳 또는 작은 도시에서 떨어져 나와 더 큰 도시에 속하게 될 때 그곳에서 만나는 새로운 인공물은 이전에 없던 당혹감을 준다. 여기서 말하는 인공물이란, 형태를 갖춘 건축 자재, 조경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으로 교착되어야만 하는 도시 생태계가 지닌 삶의 조건까지 일컫는다. 안진선은 이처럼 도시에서 느끼는 유무형의 불안을 도시에 놓인 특수한 재료에 대입해 상상하고, 이를 가볍고 쉽게 움직이는 소재로 치환함으로써 안정감이 부재한 불안의 감각을 살핀다.

공간과 작업에는 시점과 무게에 관한 고찰이 있다. 안진선은 도시를 바라보는 위치의 높낮이를 조절해 관찰하는 시점을 옮긴다. 이전 작업에서 위성이나 비행기의 시점, 도시를 걷는 시점을 활용했다면 이번 전시에서는 고속버스에 탑승할 때 맞춰지는 눈높이를 가져온다. 지면에서 대략 2미터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눈에는 광활한 공중이나 낮은 지대에서 보지 못하는 것이 보인다. 새처럼 위에서 아래로 널찍하게 보는 시야와 벌레처럼 아래에서 위로 고개를 들어야만 보이는 시야의 중간에서, 일상의 풍경에 절로 눈이 닿듯 편안한 거리감과 모든 것이 빠르고 거칠게 지나가는 속도감이 형성된다. 재료의 무게는 공간과 작업이 지니는 안정감의 정도를 결정한다. 시멘트, 철, 나무 등의 건축 재료는 무게로 분류되어 작업의 원천이 된다. 이때 실제 도시에 있는 것과 동일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가벼운 것과 무거운 것, 고정형의 것과 조립형의 것 등 서로 반대되는 성질을 조합해 새로운 물체를 만든다. 이처럼 일상에 더욱 가까워진 시점, 이질적인 것의 조합은 안정감이라는 관념에 혼란을 가중하는 상태를 연출한다.


합치기

안정감이 뒤틀어진 이곳은 파편적인 모양들을 집결시켜 불안의 감각을 길러내는 하나의 장면이 되어 간다. 공간의 상하좌우 면적을 정확히 계산하고 그곳에 놓일 것 사이의 거리를 따진 뒤 소재와 크기, 위치를 결정한 물체들이 놓여 있다. 가벼워 보이는 갈색의 지관통, 시멘트와 철근의 색을 닮은 받침대, 회색 조의 도로를 흉내 내는 천과 다리, 미끈하고 불투명한 함석판. 도시에서 익숙하게 보이는 재료의 색과 형태는 이곳에 놓인 물체 위에서 섞이고 섞이며 기존의 것과 조금씩 어긋난다. 이곳을 바라보는 시선은 들리는 소리나 보이는 형태, 느껴지는 진동 등의 여러 요소 중 먼저 인지되는 것에서 후에 인지되는 것으로 흐름을 만들며 이어진다. 산재한 모양들을 넘어 올라가고 내려가는 시선, 물체 사이에 몸을 구겨 넣는 행위, 사방에 귀를 기울이는 몸짓이 자연스레 솟아난다.

한번 형성된 흐름은 멈추지 않는다. 문을 열고 닫거나 몸을 움직일 때마다 실제로 물체들이 흔들리는 순간이 나타난다. 또는 눈에 보이는 움직임이 없을지라도, 흐름이라는 인상을 떠올린 뒤로 흐름에 관한 환영이 계속된다. 멈추고자 하는 의지로 그 움직임들을 멈출 수는 없다. 그럴 때, 즉 물체의 움직임이 정지된 상황을 상상하는 일과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상황을 마주하는 현실이 동일하지 않을 때, 시선을 둔 이는 점점 불안을 느낀다. 간혹 이곳에서 본 것들은 멈출 것이다. 그러나 곧 다시 움직이고 말 것을, 멈추지 않는 흐름이 이어질 것을 인지하면서부터 불안의 감각은 정해진 끝이 없이 시작되고 만다.


전이하기

미세한 움직임으로 채워진 이 공간은 안진선이 도시에서 느낀 불안을 이곳에 온 또 다른 누군가에게 전이하기 위한 세팅이다. 불안이 시작된 이후, 그것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이전으로 돌아가기란 어렵다. 언제 어디서 무엇이 움직일지 예측할 수 없는 상태의 순환은 불안을 그저 지속시킨다. 글씨를 써 붙이거나 소리 내어 말하며 직설적으로 경고하는 일과 달리, 불안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서서히 머릿속에 스며든다. 이러한 구조는 어쩌면 불안이란 사실 그것을 인지하는 순간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라고 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안진선은 자신이 느낀 감각을 이곳에 온 이에게 전이함으로써 그 사실에 대해 발화하고 있다.

도시를 보았던 안진선이 그러했듯 이제 이곳에 온 이에게도 불안은 사라질 수 없는 대상이 되었다. 가능한 것은 눈을 굴리고 두리번거리며 지금 느끼는 감각의 출처와 이유를 파악하려는 일 뿐이며, 그것의 현현을 체감하는 일은 멈출 수 없다. 구석진 공간에 흰색의 부드러운 공 하나가 보인다. 이 공은 위성지도의 ‘핀’(pin)처럼 이곳에 선 나의 위치를 나의 몸을 대신해 표시한다. 2017년에 안진선은 구역을 정해 이 공을 굴리며 자신이 선 곳의 정체와 그곳에 선 연유를 찾으려 했다. 반복하여 굴리기 그 자체가 목적이었던 정형행동은 이미 공을 굴리는 감각 외의 것은 알 수 없다는 결론을 전제하고 있었다. 그 공과 공을 굴린 목적은 다른 물체들과 함께 이곳에 다시 놓였다. 한없이 가벼운 천으로 만들어져서는 ‘고정시키다’라는 그것의 본래 의미에 가닿지도 못하게 제자리에서 쉼 없이 흔들리면서 말이다. 무게와 시점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된 불안을 이해하려는 행동은 결국 고정되어야 하는 것마저 뒤틀어 버리며 점차 안진선 자신에게서 다른 이에게로, 이 공간에서 저 바깥으로 퍼져 간다. 이미 이 글에서 짚었듯 불안은 그것의 출처 또는 이유와 무관하게, 우선 누군가의 시선에서 직시되어야만 하는 대상이기 때문이다.